열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광진정보도서관

광진구립도서관 모두 보기

주메뉴

지혜로운 삶을 위한 동양사상 강의
지혜로운 삶을 위한 동양사상 강의
  • 저자 : 성태용 지음
  • 출판사 : 북튜브
  • 발행연도 : 2025년
  • 페이지수 : 384p
  • 청구기호 : 150-ㅅ368ㅈ
  • ISBN : 9791192628462

 

서평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김현정

 

필자를 비롯하여 가족들 모두 종교가 없는 무교 집안이지만 부처님 오신 날쯤 다 함께 절에 놀러 가는 것을 좋아한다. 얼마 전 부처님 오신 날에도 집 근처 절에 놀러 가게 되었는데 그때 본 기와불사가 아주 인상 깊었다. 돈을 시주하고 문구를 적는 기와들에는 갖가지 바람들이 적혀 있었는데 필자는 당연히 돈과 관련된 소원이 주를 이룰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문구, 나라의 평안과 관련된 문구 등을 보면서 신선한 충격과 함께 처음으로 불교라는 종교가 궁금해졌다.

 

불교에 대한 호기심으로 고른 이 책은 불교뿐만 아니라 인도 고대사상, 공자, 맹자, 순자, 노장 사상, 주역, 성리학 등 현대까지 영향을 끼치는 동양사상들을 전반적으로 다루었다. 건국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저자 성태용 교수가 20년 전 철학아카데미에서 했던 강의를 다듬어 엮어낸 책으로, 인도와 중국 사상을 아우르면서 묶어낸 책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저자가 출간을 결심하였다고 한다. 어려운 철학들이지만 현장 강의를 듣는듯한 생생한 문체와 다양한 예시들 덕분에 몰입해서 읽을 수 있었다.

 

동양사상은 좋다거나 나쁘다거나 하는 선입견을 버리고, 우리 의식에 잠재해 있는 사상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는 동양사상을 전도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이 강의에서 다룰 사상들이 그렇게 잘난 사상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다만 여러분이 강의를 듣고 나서 , 그중에 이런 점이 쓸모가 있더라. 이런 점은 참 의미가 있겠더라하는 것을 발견하시길 바랍니다. - p. 25~26

 

만약 이 책이 불교도인 저자가 불교를 전도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불교를 좋게만 쓴 책이었다면 거부감이 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저자가 쓴 머리말을 읽고서 어떠한 선입견 없이 동양사상을 공부하기에는 이 책이 적격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고 마지막까지 흥미롭게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책에서는 동양사상의 핵심 주제뿐 아니라 그 배경이 되는 역사의 큰 흐름, 흐름에 따른 상황 변화, 해석의 차이와 종파까지 다루어 사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왔다. 그리고 그 전반적인 지식을 토대로 동양사상의 효용성을 어떻게 삶에 긍정적으로 활용할지 방향을 알려주었다.

 

그런 이론들은 세상의 어떤 측면들을 잘 드러내 주는 효용성을 지니고 있어요. 부처님의 여러 가르침도 여러 가지 모습의 괴로움을 치유하는 효용성이 있지요. 문제는 그것들이 방편이라는 것을 잊고 진리라고 고집하는 것입니다. - p. 132

 

이 책을 읽고 나서 부처님이 왜 소원을 이루어 주는 신이 아닌지, 왜 많은 기와에 소원이 적혀 있지 않았던 건지 이유를 알게 되었다. 최근에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동양사상들에 대하여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알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저자 소개 (저자: 성태용)

 

전 건국대 철학과 교수로 건국대학교 문과대 학장과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학부를 마친 뒤 한국고등교육재단 한학자 양성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청명 임창순 선생에게서 5년간 한학을 연수했다. 2000년에는 한국교육방송(EBS)에서 성태용의 주역과 21세기라는 제목으로 48회의 강의를 했고, 2007년에는 오늘날 한국연구재단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학술진흥재단에서 인문학 단장을 맡아 인문학 진흥사업에 초석을 놓았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는 우리는 선우의 대표로서 재가불자운동을 펼쳤다. 현재는 청명 임창순 선생이 설립한 청명문화재단의 이사장과 ()한국단학회 연정원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지금, 여기에서 깨닫는 유마경 강의, 더 나은 오늘을 위한 불교 강의, 어른의 서유기, 주역과 21세기, 오늘에 풀어보는 동양사상(공저)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_ 동양사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가치관의 혼란과 동양사상

서양 문화의 유입과 문화적 소화불량 | 서양화에 잠복해 있는 동양적인 것 | 균형 잡힌 사고의 중요성 | 있는 그대로 보자

 

서유기와 동양사상

서유기의 비유 | 동양과 서양의 차이

 

동도서기(東道西器)는 가능한가

()와 기()는 떨어질 수 없다 | 사상과 토양 | 욕망과 사명감

 

1_ 인도 고대사상의 흐름과 바가와드 기타

 

인도 문명의 형성

아리안족의 이주 | 유목문화와 농경문화의 결합

 

베다와 제사만능주의

 

우파니샤드와 범아일여

아트만 | 범아일여(梵我一如)

 

바가와드 기타, 비정통의 도전에 대한 대답

정통과 비정통의 차이 | 바가와드 기타의 무대, 마하바라타| 전쟁을 앞둔 아르주나의 비통함

 

바가와드 기타와 요가

바가와드 기타의 우주관 | 카르마 요가, 너의 의무를 행하라 | 박티 요가 | 즈냐나 요가 | 새로운 척도의 등장

 

2_ 불교, 괴로움을 없애는 길

 

깨달은 인간, 붓다

 

불교와 인도의 신들

인도인의 상상력 | 윤회하는 신들

 

석가모니의 삶과 가르침

 

삼법인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기 | 존재하는 모든 것은 괴롭다

 

사성제

고통의 원인, 갈애 | 집성제와 십이연기 | 연기설 | 멸성제와 열반 | 도성제, 삼학과 팔정도 | 고요하지만 깨어 있는

 

불교의 역사

아난 존자와 불경의 집결 | 시대 상황의 변화와 부파불교 | 부파불교(소승불교)의 일반적 특징 | 대승의 출현 | 중관과 유식 | 불교의 전파와 선종 | 불교가 있게 된 세상

 

3_ 공자, 무너진 세상에서 이상 사회를 꿈꾸다

 

매력적인 인간, 공자

유가의 전인교육 | 공자의 출생과 가계

 

공자의 시대, 춘추시대

주 왕조 이전 | 주나라와 봉건제도 | 동주와 춘추시대 | 난세와 제자백가의 출현

 

나를 다스려서 세상을 바꾼다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 | 은자들의 무리

 

()의 회복

농업기술의 발달과 예의 붕괴 | 덕으로 다스리다 | 나는 예가 아깝다

 

()의 정의와 실천

최고의 덕, () | 인의 실천

 

인격도야와 예 184

덕과 예의 조화 | 자상백자와의 만남

 

4_ 맹자, 대장부와 왕도정치

 

전국시대와 맹자의 왕도정치

전국시대 | 왕도와 패도 | 백성의 중요성 | 왕이 아니라 필부를 죽였다 | 흉년에 굶어 죽지 않게

 

성선설과 호연지기

왕도정치와 성선 | ‘에 대한 논쟁 | 대체를 기르는 법, 호연지기

 

두 개의 원동력

어떻게 꼭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 맹자의 이상주의

 

5_ 순자, 지적 인식을 통한 인격의 완성

 

강대국 진나라와 순자의 사상

순자 학문의 동기 | 인간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하나 | 법가와 유가 | 순자의 합리주의

 

순자의 인성론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 --(--)과 지려(知慮)

 

공자의 예() 사상의 계승자, 순자

처음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다 | 성왕(聖王)에 대한 믿음

 

황로학과 대청명의 경지

(), (), () | 남김없이 비추는 대청명의 경지 | 성인에 이르는 길

 

6_ 노장사상, 생사를 넘나드는 대자유

 

도가사상의 유래

도교와 도가 | 인도 기원설 | 초인(楚人) 정신 | 난세를 구원하자, 공자와 묵자 | 은자들의 사상

 

도가, 초월의 사상

대붕과 자유 | 자연의 입장 | ()와 무()

 

온전히 살기 위하여

장자의 라이벌, 혜시 | 쓸모없음의 큰 쓸모 | 생과 사에서 벗어나기

 

문명에 대한 비판

기심(機心)을 경계하다 | 무위와 소국과민 | 노장사상의 효용

 

7_ 주역, 삶과 사회의 원리를 밝히다

 

주역은 어떤 책인가

주역은 점치는 책 | 태극기는 주역의 원리를 담은 것 | 주역의 성립

 

주역의 구성과 해석

음양에서 팔괘로 | 64, 사태를 말하다 | 상수학(象數學)과 의리학(義理學) | 운동과 변화의 책 | 여섯 개의 자리 | ()와 응() | ()과 정()

 

주역공부, 수지맞는 장사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 삶과 사회의 원리를 밝히다 | 수뢰준, 어려울 때의 처신 | 중천건, 때에 맞는 처신

 

점의 실제

동전점 치는 법 | 가뭄을 예측하다 | 문제에 따라 달라지는 해석

 

8_ 성리학, 본성을 온전히 드러내기

 

성리학의 배경

유학의 맥이 끊기다 | 심성론과 수양론의 부족 | 새로운 유학의 탄생 | 리와 기를 짝짓다 | 불교와 도교의 영향 | 경전에 대한 과감한 해석

 

리와 기, 성리학의 핵심 개념

보편성과 특수성 | 인간의 리와 격물치치 | , 리의 담지자 | 주기론의 등장 | (), 개체성에 들어온 리 | 성리학의 수양법

 

조선에서의 논쟁들

 

강의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