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광진정보도서관

광진구립도서관 모두 보기

주메뉴

극장에 대하여
극장에 대하여
  • 저자 : 이승엽 지음
  • 출판사 : 마인드빌딩
  • 발행연도 : 2020년
  • 페이지수 : p
  • 청구기호 : 681.2068-ㅇ784ㄱ
  • ISBN : 9791190015110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박 주 용

 

거리두기에 대한 양상이 조금 완화되었지만, 이로 인한 피해는 사뭇 심각하다. 예술계 또한 그렇다. 모든 극장의 운영과 공연의 상영이 중지됐고 참다못한 배우들은 하나둘씩 공연계를 이탈하고 있다. 좋아하는 배우들을 위해 공연장을 방문했던 관객들도 마찬가지다. 코로나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짐에 따라 취미생활을 청산하고 본업에 충실하기 위해 극장을 떠나는 이들도 수두룩하다. 그렇게 움직일 수 없는 극장만이 텅 빈 채로 남았다. 장소가 주는 공허함을 달래기 위해 운영자들은 오늘도 고뇌에 빠진다.

 

이 책은 세종문화회관 사장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인 이승엽 저자가 우리를 책으로 만나고자 고심한 첫 번째 결과물이다. 대부분의 문화예술 향유가 공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던 데 반해 이 책은 <극장에 대하여>라는 책 제목처럼 온전히 극장에 초점을 맞췄다. 저자는 이 책을 워밍업용 책이라고 칭하면서도, 시간적 흐름과 속성에 해당하는 종횡단면을 빠짐없이 다루는 전문가적인 모습을 보인다. 얼핏 보면 논문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인해 비전문가가 이해하기에 조금 어려울 수 있겠다지만, 뒷장으로 갈수록 느낌이 다르다. 극장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2장은 키워드를 통해 책을 구성했으며, 책의 13장이 과거와 현재의 극장을 논하고, 에필로그까지 미래의 극장이 담아야 할 제언을 꼭꼭 눌러 담았다. 이 정도면 극장에 대한 저자의 애정이 차고 넘치는 듯하다. (맹점은 이 책이 극장경영시리즈의 1권이라는 점이다.)

 

공연예술은 또 다른 언어로 제약의 예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제한된 환경 속에서 다양한 배경과 시대상을 나타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결과 공연이 관객과 만나는 극장도 물리적 환경의 하나로 작용하게 된다. 공연을 진행하며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특성은 물리적 만남으로 분류하기도, 등장인물과의 정신적 교감을 통한 정서적 만남이라고도 칭하며, 동시다발적 만남이 발생하게도 한다. 혹자는 지금의 양상이 계속되어 온라인으로 만나는 공연들이 그들에게 어떤 영감과 울림을 줄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말하지만, 극장은 관객과의 만남이 발생할 수 있도록 다시금 일어서려 노력한다. 과거의 창작물이 현대의 제작자에 의해 개작되듯이, 2500년의 극장 역사가 바이러스 하나로 쉽게 무너질 수 없다. 극장이 희망의 매개체가 되어 다시 만남을 성사하는 그 날까지, 객석은 관객을 소망하고 극장은 코로나를 공연으로 산화시킬 날을 기다리고 있을 터이다.

저자 소개 (저자: 이승엽)

서울대학교에서 불문학을 공부했다. 1987년 예술의전당에서 일하기 시작하면서 예술경영 분야에 발을 들였다. 200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으로 자리를 옮겨 예술경영을 가르치는 교원이 되었다. 이후에도 극단 대표와 축제 예술감독 등으로 현장 가까이 있었다. 예술정책과 예술경영의 몇몇 세부 주제로 연구하고 글을 썼다. 2013년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을 맡았다. 20152월 세종문화회관 사장으로 현장에 복귀했다. 20182월 세종문화회관에서의 임기를 마치고 대학으로 돌아갔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로 일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1장 극장에 대해

1 극장은 무엇인가?

문화예술/ 씨어터의 범위/ 씨어터의 어원/ 극장의 편익과 존재 이유

 

2 서양 극장의 역사

고대 그리스 시대: 헬레니즘 이전까지/ 디오니소스 극장/ 헬레니즘 시대/ 에피다우루스 극장/ 델포이 극장/ 시라쿠사 극장/ 로마 시대/ 마르셀루스 극장/ 콜로세움/ 오랑주 로마

극장/ 폼페이 대극장/ 헤로데 아티쿠스 극장/ 유럽 중세 시대/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스완 극장과 글로브 극장/ 이탈리아의 올림피코 극장과 파르네제 극장/

영국의 바로크 극장: 씨어터 로열 드루리 레인/ 이탈리아의 바로크 극장: 라 스칼라/ 로열

오페라 하우스/ 오페라 가르니에/ 바이로이트 극장/ 서양 근대 극장의 흐름

 

3 한국의 극장사

한국의 고대 극장/ 조선 시대의 공연 공간/ 산대/ 황실극장 협률사/ 원각사/ 동양극장/ 부민관/ 국립극장/ 드라마센터/ 소극장/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 극장 인프라의 흐름/ 1970년대: 위용과 규제의 시기/ 1980년대: 그랑 프로제의 시대/ 1990년대: '문화

복지''문화 산업'/ 2000년대: 성장통과 조정의 시기/ 2010년대: 변화와 차별의 시대

사이드스텝: 예술정책 지형의 색다른 시간 구간

 

4 우리나라 극장의 오늘

특성별 분포/ 극장의 추이/ 지역별 분포/ 설립 주체와 운영 주체/ 가동률/ 재정/

인력/ 극장의 공연 단체

 

2장 극장을 이해하는 10가지 키워드

 

1 미션

사이드스텝: 왜 회식의 끝은 항상 노래방일까?

 

2 재원

복합 지불자/ 공공극장과 비영리극장/ 공공 재원/ BTLBTO/ 민간재원

 

3 운영 형태

공공 극장/ 공공 극장의 직영/ 공공극장의 위탁 운영/ 민영화/ 민간 극장

 

4 무대와 객석 간의 관계

프로시니엄 극장/ 돌출무대 극장/ 아레나 극장/ 블랙박스 극장

사이드스텝: 블랙박스 극장

 

5 극장의 크기

 

6 프로그램 제작 방식

프로듀싱 씨어터/ 프리젠팅 씨어터

사이드스텝: 시즌

 

7 극장의 용도

다목적 극장과 전용 극장/ 복합 공간과 단일 공간/ 장르별 극장

 

8 극장의 물리적 조건과 특성

스페이스 프로그램/ 무대 시스템/ 음향/ 조명 시스템/ 무대 기계 시스템

사이드스텝: 구내식당이 있어 다행이다

 

9 극장의 이해당사자

복합 공중 또는 다양한 이해당사자/ 관객

사이드스텝: 시차극복과 햇빛

 

10 내외부 환경과 여건

외부 환경/ 내부 여건

사이드스텝: 흥행과 감동 사이

 

3장 현대극장의 트렌드

 

1 토털 씨어터

그로피우스의 토털 씨어터’/ 극복하고 싶은 한계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극장1/

샤우뷔네 극장/ 파리 필하모니 홀/ 세리토스 공연센터/ LG아트센터

 

2 아트 콤플렉스

아트 콤플렉스: 공연 부문의 그랑 프로제/ 링컨 센터/ 국가대극원/ 에스플라네이드/

바비칸 센터/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예술의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사이드스텝: 우리 시대에 딱 맞는 그랑 프로제 ‘1+1’

 

3 재생 극장

파운드 스페이스 또는 발견된 공간/ 피터 브룩과 두 개의 재생 극장/ 파리 104/

국립극단의 두 개 공간

사이드스텝: 3개 극장의 엇갈린 운명

 

4 이머시브 씨어터와 새로운 극장

사이트 스페시픽 씨어터/ 이머시브 씨어터/ 슬립 노 모어/ 거리에서

 

5 도시재생과 공간

문화적 도시재생/ 문화적 도시재생의 사례들/ 도시재생과 극장/ 창동 아레나 프로젝트/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마포 문화비축기지/ 세이지 게이츠헤드/ 엘프필하모니

사이드스텝: 도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극장

 

6 산업적 성격이 강한 공간

뮤지컬 전용극장/ 아레나

 

7 문예회관

문예회관의 붐/ 문예회관의 용도/ 문예회관의 운영/ 문예회관의 공간 구성/ 문예회관의

상주단체와 콘텐츠/ 해외의 공공극장 네트워크

 

8 대학로

 

에필로그: 극장의 미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