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광진정보도서관

광진구립도서관 모두 보기

주메뉴

게시물 상세화면
[광진/지혜학교] 끝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들: 재난 서사 깊이 읽기
도서관 광진정보도서관
접수방법 홈페이지 접수
접수대상 홈페이지회원
접수기간 2025.06.05(목) ~ 2025.06.17(화)
홈페이지신청 30명
현장접수 0명
대기자 0명
강좌기간 2025.06.19(목) ~ 2025.09.04(목)
강좌시간 목요일 10:00~13:00
강좌대상 성인25명
강좌장소 문화동 2층 메이커스페이스교육장
재료비 없음
강사명 윤민정(인문학자)
강사소개 -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교 및 퍼듀대학교 영문학 수료(비평이론, 영미문학-시, 소설)
- 경희대학교 영문학과 학사 졸업 및 박사 수료
- 2009~ 대학 강사 및 다수 문학 관련 인문학 강의

- 저서: 『퇴근길 인문학 수업-전진』 (공저)
- 역서: 『나의 푸른 베이징』, 『교양인을 위한 인문학 사전』 등
비고 [광진/지혜학교] 끝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들: 재난 서사 깊이 읽기
첨부파일
📖 광진정보도서관 2025 지혜학교
끝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재난 서사 깊이 읽기
– 문학과 영화로 함께 사유하는 인문학 강의 –


지혜학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인문정신문화 확산 공모사업으로,
대학 교양 수준 이상의 깊이 있는 인문 프로그램을 도서관에서 만나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 프로그램 소개 
올해 광진정보도서관 지혜학교에서는,
재난과 종말을 다룬 영미 문학 작품과 영화를 함께 읽고 감상하며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인간다움’과 ‘공동의 삶'에 대해 사유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통제할 수 없는 위기, 끝나지 않는 재난의 시대 속에서 문학이 던지는 질문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 참고사항 
📚주제도서는 프로그램 참여자를 위해 소량 준비 예정이며, 절판도서는 별도 자료를 제공합니다.
🎬주제영화는 강의시간에 함께 시청합니다.
※ 매회 3시간씩 총 12주간 운영되는 장기 프로그램입니다. 참여 전 개인 일정을 꼭 확인해 주세요.

■신청: 6/5(목) 09:00~ (선착순 모집)
■일정: 6/19~9/4 매주(목) 10~13시 (3시간*12회차)

■대상: 문학과 인문학에 관심 있는 성인 누구나
■문의: 02-2049-2940 (담당사서: 김영의)

💡 회차별 강의계획 

회차

진행방식

일시

프로그램 주제 및
주제자료(도서/영화)

강의 내용

1

강의/감상

6/19(목)
10:00~13:00

주제: 들어가며-강의 개요
영화:《설국열차(2013)

현 인류가 직면한 생태적 위기를 인류세’, ‘자본세라는 개념과 관련지어 이해하기

2

강의

6/26(목)
10:00~13:00

주제: 근대에서 바라본 미래(1)
도서: 메리 셸리, 『최후의 인간 1

작품에서 그려진 전염병과 종말론적 요소를 살펴보고 주인공 버니의 기록을 중심으로 인간종에 대한 계몽주의적 전제의 문제적 국면을 파악하기

3

강의

7/3(목)
10:00~13:00

주제: 근대에서 바라본 미래(2)
도서: 메리 셸리, 『최후의 인간 2

주요 등장인물의 정치적 실험과 신념의 한계를 짚어보고, 재난 서사의 철학적 논제 살펴보기

4

강의

7/10(목)
10:00~13:00

주제: 감염 이후, 변이체로 살아남기
도서: 리차드 매치슨, 『나는 전설이다』

재난 이후, 작품 속에서 데카르트적 생각이 바이러스적 주체에 의해 어떻게 해체되는지 살펴보기

5

강의

7/17(목)
10:00~13:00

주제: 죽음에 저항하는 글쓰기(1)
도서:옥타비아 버틀러, 『씨앗 뿌리는 사람의 우화』

지구 종말의 위기를 벗어나 전통적인 기독교 사상과 다른 새로운 종교를 창설하고자 하는 주인공 로렌의 서사 살펴보기

6

강의

7/24(목)
10:00~13:00

주제: 죽음에 저항하는 글쓰기(2)
도서:옥타비아 버틀러, 『은총을 받은 사람의 우화』

지구종을 지켜내려는 주인공 로렌의 시도를 보면서 자본세가 초래한 위기에 대해 가능한 대안은 어떻게 발견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기

7

강의

7/31(목)
10:00~13:00

주제: '눈사람'의 인류 종말 리포트
도서:마거릿 애트우드,『오릭스와 크레이크』

유일한 생존 인간 눈사람(snowman)이 증언하는 인류 종말 서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지구 생태계 내의 인간종의 위치 생각해 보기

8

강의

8/7(목)
10:00~13:00

주제: 재의 시간을 함께 횡단하기(1)
도서:코맥 매카시, 『로드』

아버지와 아들의 서사에 스며있는 인식에 대한 차이를 이해하고, 파괴와 구원이 어떤 상호의존적 관계를 이루는지 살펴보기

9

강의/감상

8/14(목)
10:00~13:00

주제: 재의 시간을 함께 횡단하기(2)
영화:《로드(2009)

소설과 영화의 서사적 차이를 이해하고, 미래의 공동체는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을지 생각해 보기

10

강의

8/21(목)
10:00~13:00

주제: 황홀과 공포 사이- '균'의  언어와 만나다(1)
도서:제프 밴더미어, 『소멸의 땅』

인간 이후의 세대를 지칭하는 포스트휴먼 세계에 대해 제기된 여러 가지 철학적 의제 사유하기

11

강의/감상

8/28(목)
10:00~13:00

주제: 황홀과 공포 사이- '균'의  언어와 만나다(2)
영화:《서던 리치: 소멸의 땅(2018)

소설과 영화의 서사적 차이를 이해하고, 도래할 포스트휴먼 상황에 직면하게 될 문제를 생각해 보기

12

후속모임

9/4(목)
10:00~13:00

주제: 나가며-종합 정리 및 토론
도서:편혜영, 『재와 빨강』/ 정유정, 『28』

영미권의 묵시록적 재난 서사의 특징을 재정리하고, 국내 작가의 재난 소설이 제기하는 문제의식과 어떤 관련성을 찾을 수 있는지 토론하기

재난의 디스토피아 소설 읽기를 통해 새롭게 써야 할 인간과 공동의 지구이야기(geostory)’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길 수 있는지 논의하기

🌱 세상의 끝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문학이 당신의 삶에 남기는 여운을 함께 경험해 보세요.
 
♣ 1계정 1신청 원칙이며, 본인 명의 아이디로 신청하셔야 합니다. 
♣ 등록된 연락처로 프로그램 안내 문자가 발송되오니, 소통 가능한 연락처를 기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