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유호준
자연이 우리 몸에 좋은 까닭은 무엇인가? 피톤치드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초록색은 우리 시력에 좋으니까? 애석하게도 나는 당장 생각나는 게 이런 것뿐이다. 솔직히 대부분 사람의 대답은 이 정도 수준일 거로 생각한다. 책 「초록감각」은 나같이 어렴풋한 이유만으로 자연이 좋다고 하는 사람들을 위해 과학적으로, 그리고 오감을 사용해 가며 자연이 우리에게 좋은 이유를 설명해 준다. 표지에 적혀 있듯, ‘식물을 보고 듣고 만질 때 우리 몸에 일어나는 일들’을 담았다.
사실 자연에 관한 연구는 끊임없이 계속됐다. 15년 전부터 연구를 시작한 작가는 최신 과학 연구물들을 한데 모아 이 책으로 정리했다.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자연을 예찬한다. 네덜란드의 그린 월(Green Wall) 유무에 따른 아이들의 집중력 차이 실험이라든가, 창밖으로 나무를 볼 수 있는 병실에서 회복 중인 수술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회복력이 세 배나 더 높다는(마지막 잎새 이야기는 어쩌면 과학을 토대로 지어졌을지도 모른다) 등의 연구 결과들. 흥미로운 연구와 작가의 손쉬운 설명에 다음 장을 넘길 때마다 이번엔 어떤 사례들이 나올까 하는 궁금증마저 생긴다.
이 연구를 토대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한 가지이다. 자연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다양한 방면에서 자연이 쓰여야 할 것을 주장한다. 보건, 교육, 도시계획 등 공간 디자이너부터 정책 입안자들까지, 모두가 이 책을 읽고 자신처럼 가치관을 바꿔주기를 바라고 있다.
사실 우리는 모두 자연이 필요하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느끼고 있다. 그렇지 않다면 왜 눈이 피로하면 자연스레 초록색을 찾고, 이 좁은 땅덩어리에서도(특히 서울) 어떻게든 녹지대를 구성하려 하겠는가. 멀리 가지 않고 당장 우리 광진정보도서관 옥상 텃밭만 봐도 알 수 있다. 손수 채소를 길러 심신의 안정을 되찾으려는 사람들이 매년 줄을 선다. 이용자들은 텃밭을 가꾸는 이유를 즐겁기 때문이라고 하지 건강에 이로워서라고 하지 않는다. 자연이란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를 즐겁게 해주는 존재인 것이다.
에리히 프롬은 그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에서 우리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일침을 가한다.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려 한다. 하지만 우리가 정작 지배해야 할 것은 ‘자연’이 아닌 ‘기술’이다. 기술을 지배하여 조금이라도 더 자연과 함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태고부터 함께했던 자연을 이제 와서 멸시하는 우리 삶의 방식을 반성해야 한다. 자연이 절정이 이루고 초록이 가득한 여름, 초록 감각을 읽으며 자연을 만끽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며 서평을 마친다.
저자 소개 (저자: 캐시 윌리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생물학과 생물다양성 교수, 세인트에드먼드 홀 학장. 큐 왕립식물원에서 과학 연구 책임자를 지냈고, 현재 영국 상원 초당파 의원, 정부 자연자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생물다양성과 보존과학 분야에서 연구, 정책 자문, 대중 교육 등의 활동을 꾸준히 해온 전문가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의 관계,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효용, 생물다양성과 건강의 상호작용이다. 지은 책으로 《식물 박물관》이 있다.
약 15년 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은 한 연구를 접한 이후 캐시 윌리스 교수는 우리 삶 속 녹지 공간과 건강, 기분, 수명 간의 연관성을 탐구해왔다. 이 책은 그 결과물로, 최신 과학 연구를 한데 모아 우리가 식물과 더 잘 관계 맺기 위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한다. 저자는 독자들의 삶을 더 아름답고 활기차게 가꾸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목차
머리말: 삼림욕과 트리 허그
1. 푸른 지평선: 전망의 중요성
2. 눈으로 먹는 채소: 푸른 잎은 몸에 좋다
3. 꽃의 매력: 꽃은 어떻게 우리를 매혹하는가
4. 성공의 달콤한 향기: 삶의 질을 높여주는 식물의 향
5. 귀를 통한 치유: 새의 노래에서 나뭇잎의 속삭임까지
6. 나뭇결의 감촉: 집 안에서 건강해지기
7. 자연의 숨겨진 감각
8. 실내 감각 풍경: 생명 친화적 디자인
9. 실외 감각 풍경: 짧은 산책의 힘
10. 정원과 텃밭에서 행복 찾기
맺음말: 개인과 사회를 위한 자연 처방
감사의 말
그래프 보충 설명
그림 출처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