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이혜림
2023년 9월, 국회의사당 앞에 최대 35만 명의 교사들이 모였다. 교사들이 외친 것은 수당을 올려달라는 것도 아니었고, 복지 향상이나 근무 형태를 바꿔 달라는 주장이 아니었다. ‘학생은 배울 수 있게, 교사는 가르칠 수 있게.’ 아주 간단하고 명료한 요구 사항이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최소 12년의 기간 동안 속해있는 공교육의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라는 직업에 대해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인기가 급격히 상승해 좋은 직업 중 하나로 평가되었지만, 지금은 “교직 탈출은 지능 순이다”라는 자조적인 문장으로 현세대에서 어떻게 평가되는지 알 수 있다. 이 책의 저자인 김차명 교사는 ‘찬쌤스쿨’의 대표이자 실천교육교사모임 경기지역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장학사로 활동했던 경험까지 더해 다양한 측면에서 교사로 잘 살아가기 위한 내용을 서술한다. 그러나 마냥 위로만을 전하지 않는다. 현실적인 교사의 업무와 미래교육, 디지털 활용을 통한 수업 진행 등에 대해 설명하고 중요한 지점을 확실하게 얘기한다.
저자는 책 제목이 다소 ‘F’스럽지만 내용은 ‘T’에 가깝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결국 책에서 저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어려운 현실에서도 교사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혹은 교사가 되고 싶은 사람들과 함께하고 싶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진정으로 고민해야 할 것은 ‘어떠한 사람에게 교사가 될 자격이 있는가’가 아니다. 그보다는 ‘훌륭한 사람들이 교직을 선택했는데, 왜 어느 순간 철밥통 교사가 되는가’라는 질문으로 돌아가야 한다. … 이 길을 선택한 사람들이 후회 않고 아이들과 함께 하루하루 성장하는 느낌으로 즐겁게 살았으면 좋겠다.
저자 소개 (저자: 김차명 )
교사, ‘교사가 최고의 콘텐츠’이다!
이미지와 영상 기반의 디지털교육 콘텐츠를 만드는 전국 단위 교사모임 ‘참쌤스쿨’의 대표이다. 실천교육교사모임 경기지역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대변인실 미디어담당 장학사, 광명교육지원청 장학사로 근무하다 2024년에 다시 학교로 돌아왔다. 경인교육대학교와 가톨릭대학교에서 예비교사를 가르쳤다. 지은 책으로는 『참쌤의 비주얼씽킹 끝판왕』,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교사동감』 등이 있다.
목차
pr. 교사의 일, 그리고 걱정 - 교사라는 직업으로 잘 살아갈 수 있을까?
01. 교사를 선택한 이유 - 어떤 사람이 교사가 되어야 할까요?
02. 공교육의 목적 - 공교육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03. 교사의 업무 - 교사는 주로 무슨 일을 할까요?
04. 부장교사 - 부장교사는 어떤 일을 할까요?
05. 전문직 전직 - 장학사로 전직하면 어떨까요?
06. 교사 외부강의 - 학생 대상 말고 다른 강의도 할 수 있나요?
07. 교사 겸직 - 교사를 하면서 다른 직업을 가질 수 있나요?
08. 전문적 학습공동체 -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해야 할까요?
09. 직업으로서의 교사 - 교사라는 직업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10. 교사 수입 - 교사는 얼마나 벌까요?
11. 교사 퍼스널 브랜딩 - 교사 인플루언서가 되고 싶나요?
12. 공무원으로서의 교사 - 교사는 몇 급 공무원인가요?
13. 교사 승진 - 교장 교감으로 승진은 어떻게 할까요?
14. 우리나라의 교과서 - 교과서의 문제는 교과서에 있습니다
15. 디지털 활용과 에듀테크 - 디지털 활용과 에듀테크는 필요한가요?
16. AI 디지털교과서 - AI 디지털교과서는 교실 혁명을 부를 수 있을까요?
17. IB 교육 - IB 교육이 무엇인가요?
18. 교육만능론 - 학교에서 가르치면 학생은 다 배우나요?
19. 공교육 붕괴 - 공교육이 붕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0. 학교폭력과 학교폭력 예방법 - 학교폭력은 처벌만이 답일까요?
21. 위기의 아이들 - 학교의 금쪽이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22. 교권이란? - 교권은 어떻게 확립할 수 있을까요?
23. 교원 징계 - 교원의 징계는 어떻게 이뤄지나요?
24. 교육과 법 - 교육 관련 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25. 교육과 정치 - 교육에도 진보와 보수가 있나요?
26. 교사 출신 교육감? - 교육부장관과 교육감은 왜 교사 출신이 아닐까요?
27. 교사의 정치 기본권 - 교사의 정치 기본권은 어디까지 보장이 되나요?
28. 교원단체 - 교원단체와 노조를 알아볼까요?
29. 교육부와 교육청 - 국가교육위원회는 무엇을 할까요?
30. 평가 - 평가는 시험 아닌가요? 입시는요?
31. 특수교육 - 특수교육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32. 타 진로 - 교사를 그만두고 선택할 다른 진로가 있을까요?
ep. 교사의 삶, 그리고 용기 - 나는 그래도 네가 선생님을 했으면 좋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