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광진정보도서관

광진구립도서관 모두 보기

주메뉴

한옥 적응기
한옥 적응기
  • 저자 : 정기황 지음
  • 출판사 : 빨간소금
  • 발행연도 : 2024년
  • 페이지수 : 264p
  • 청구기호 : 549.78-ㅈ356ㅎ
  • ISBN : 9791191383478

서평

광진구립도서관 사서 조하영

 

책의 제목인 한옥 적응기를 처음 보았을 때, 응당 한옥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건축물인 한옥에 대한 건축적 요소를 풀어낸 책일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전통 가옥의 기구한 역사라는 부제를 알아차리고 나서야 적응의 주체가 사람이 아닌 한옥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서 한옥은 자연, 이양, 절충, 전통의 시대를 거쳐 적응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한반도의 자연환경에 맞춘 다양한 양식부터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이후 군사정권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에 맞게 적응한 전통 가옥인 한옥에 대한 변화를 역사적 흐름과 배경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

 

원래 우리가 일컫는 한옥은 개항 이후인 1908년에 양옥, 일옥과 구분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고 한다. 1970년대에 들어 언론과 정부에서 전통 가옥을 통칭하는 단어로 사용하였으며, 2000년대 초 도시한옥과 더불어 ‘(전통)한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고 결국 기와, 유려한 곡선 등 일관화된 인식이 떠오르는 단어로 자리 잡았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한옥은 우리나라 고유의 형식으로 지은 집을 양식 건물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조선집, 한식집이라고 정의된다. 여기서 저자는 고유의 형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만들어진 전통과 단일 특징으로 규정된 한옥의 형식에 대해 되묻는다.

 

주거, 마을, 도시는 공동, 마실, 시장처럼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만든 문화적 단위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이 단어들은 물리적 환경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주거, 마을, 도시에 담긴 의미를 되찾기 위해서는 권력자들이 만드는 형식이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현실을 되돌아보아야 한다. p54

 

특히나 자연스럽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발전하고 현대화되는 과정이 아닌 특정 집단의 의도에 따라 정의된 한옥의 형태나 모습은 서구 전통 건축양식과는 차별점이 있다. 현대로 넘어오며 한옥은 역사적 가치를 지닌 전통유산의 껍데기를 쓴 채 여러 이해관계 속에서 이데올로기적 용도로 이용되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저자는 한옥이 시대에 적응하며 나타난 모습을 적응태로 지칭하며, 한옥을 단순 사전적 의미가 아닌 느슨한 정의를 고수한다. 군사독재 시기 한옥은 개량의 대상인 재래식 주택이 되었다가 현대에 들어서는 보존하고 연구해야 하는 가치 있는 유산이 되었다.

 

적응태는 정답이나 고정불변의 법칙이 아니다. 그것은 한옥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치열한 삶과 문화가 축적된 역사의 한 단면이고, 더 나은 공간이 되기 위한 발판이다. 기와가 덮인 팔작지붕이 아니더라도, 이것이 한옥이고 전통이다. p229

 

각기 다른 사람들이라고 할지라도 한옥이라는 단어를 듣고 떠올리는 이미지는 제법 통일된조선시대 양반가의 기와집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작가는 고정적인 이미지 혹은 몇 가지로 정의되는 것이 아닌 우리들의 삶과 문화가 담긴 터전에 집중한다. 정형할 수 없는 우리네 역사와 전통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집. 그것이 한옥이 아닐까? 앞으로의 한옥의 역사는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의 관점과 의식 속에서 꿈틀이며 적응하며 새로 쓰일 것이다. 옛것의 미래 역사를 쓰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저자 소개 (저자: 정기황)

 

각 시대의 문화가 새겨진 공간과 도시를 계보학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이며, 이를 기초로 공간을 설계하는 건축가다. 근대 서울의 도시 건축 적응 과정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시시한연구소와 ()문화도시연구소에서 사회적 소외 계층에 건축 서비스(공간)를 제공하는 집짓기’, 아동·청소년 건축 교육 프로그램인 건축학교’, 장소인문학적 도시 건축 연구 등을 하고 있다. 도시 사회운동이자 커먼즈 운동인 경의선공유지시민행동의 공동대표(2015~21), 지역 문화예술 커뮤니티인 공유성북원탁회의의 공동위원장(2017)으로 활동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들어가며 / 한옥이란 무엇인가

1. 자연의 시대 / 지붕의 재료로 구분하는 집

2. 이양의 시대 / 민족 정체성을 위한 (조선)

3. 절충의 시대 / 근대 도시의 탄생과 (도시)

4. 전통의 시대 / 정치적 언어로서의 한옥

5. 적응의 시대 / 만들어지는 전통으로서의 한옥

나오며 / 집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참고문헌